"서울매일, 인천 여*야 정치 마당 스토리"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 일시중단 본문
유정복 시장, 유네스코가 북한이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반대하는 서면의견 제출 통보해 와
인천광역시가 준비하고 있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대청도 일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북한의 반대로 중단됐다.
유정복 시장은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지난 19일 유네스코 측에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에 대한 반대의견을 서면으로 제출함에 따라 절차가 일시 중단되었음을 공식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가이드라인 규정에 따르면 ‘회원국의 서면 반대의견이 접수될 경우, 과학적 평가가 진행되지 않으며, 해당 회원국이 문제 해결을 위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유네스코는 인천시가 제출한 지정신청서와 자기평가서 등을 바탕으로 오는 6월 현장실사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북한과 협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사실상 무기한 연기가 불가피하다. 국내에서 유네스코 회원국의 이의제기로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중단된 것은 처음이다.
![]() |
![]() |
인천시는 그간 지역사회 및 전문가들과 함께 백령·대청 지역의 지질학적 가치를 입증하고, 관련 기반시설 조성 및 주민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유정복 시장은 “유네스코가 북한의 이의제기 사유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NLL(북방한계선)에 대한 무력화 의도일 가능성이 높다.”며 “필요하다면 북측과 직접 만나 문제 해결을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절차 재개를 위해 정부와 협력해 구체적인 반대 사유를 파악하고 대응하면서 외교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그간 준비한 인프라와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협력 기반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도 과거 비무장지대(DMZ)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하려고 했으나, 북한의 반대로 2012년 지정이 유보됐다. 이후 2019년 비무장지대를 제외한 강원 접경지역과 경기 연천군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받은 바 있다.
환경부는 외교당국과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의 이의제기 사유를 정확히 확인하고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 정순학 기자
'인천알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2026년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준비 돌입 (1) | 2025.05.23 |
---|---|
인천시, 식중독 ‘제로’ 및 CRE 감염증 감소전략 추진 (0) | 2025.05.23 |
인천관광공사, ‘웰니스·뷰티 그로그램’ 새롭게 선보여 (1) | 2025.05.21 |
인천시, 외국인 주민 위해 지방세 납부안내 리플릿 배포 (3) | 2025.05.21 |
인천경찰, ‘오토바이 보험사기 일당 40명’ 검거 (0) | 2025.05.21 |